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원예 식물의 분류 1
    농업 2024. 3. 27. 23:19

    고사리 양치식물
    양치식물 - 고사리

    1. 식물의 분포내역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식물이 분포한다. 현재 알려진 식물의 종수는 27만 7280종으로 보고있다. 먼저 식물을 선택식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의 4개 분류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분류군은 식물분류학에서는 문(phylum)에 해당하는 것이다. 속칭적으로 식물은 물과 양분의 수송통로, 즉 관속(관다발)의 발달 유무에 따라 무관속식물과 유관속식물로 양분할 수 있다. 선태식물은 지구 초기에 발달한 육상식물로 관속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고 잎, 줄기, 뿌리의 분화도 원시적인 하등식물에 속한다. 반면, 그 후 번성하게 된 양치식물 이후는 관속이 잘 발달하고 잎, 줄기, 뿌리의 분화도 분명한 고등식물이다. 식물은 또한 번식 수단에 따라 포자식물과 종자식물로 나눌 수 있다. 선태식물과 양치식물은 포자식물이고,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은 종자식물이다. 현재 알려진 피자식물은 25만 종으로 전체 식물분포의 90%이상을 차지한다. 나자식물은 불완전한 꽃을 갖고, 피자식물은 완전한 꽃을 갖는다(현화식물). 

     

    2. 선태식물과 양치식물

    선태식물은 이끼식물이라고도 부르며, 지구에서 최초로 육상생활에 접슨한 식물군이다. 포자로 번식하고 관속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엽록체가 발달하기 때문에 독립 영양생활을 한다. 형태적으로 줄기, 잎, 뿌리의 분화가 원시적이고, 헛뿌리가 발달하여 습한 땅이나 바위, 나무 등에 착생한다. 

     

    양치식물은 선태식물 다음으로 지구상에 등장한 식물군이다. 관속이 발달하기 때문에 고등식물로 분류하며 유관속식물의 특징인 뿌리, 줄기, 잎이 발달한다. 대표적인 양치식물은 고사리가 있다. 현대 분류학에서 양치식물은 송엽란식물문, 석송식물문, 속새식물문, 양치식물문으로 나눈다. 

     

    3. 나자식물과 피자식물

    나자식물은 종자가 겉으로 나출되어 있다.  종자가 있지만 꽃은 불완전하고 은화식물로 분류된다. 꽃과 과실 대신 포자수, 구화수, 구과(솔방울) 등을 갖는다. 대부분 단일 수정을 하고, 잎은 침엽이며 엽맥은 평행상이고 목부에는 가도관(헛물관)이 잘 발달되어 있다. 종에 따라 자엽이 2~수개에 이르는 다자엽식물이다. 은행나무는 자엽이 2개지만 쌍지엽식물은 아니다. 소나무는 자엽이 6~16개이다. 은행나무는 나자식물로 활엽을 갖지만 침엽수로 분류되고, 자웅이주로 암수의 구별은 생식기의 발달 후에나 가능하다. 

     

    피자식물은 종자가 자방 속에 들어 있다. 완전한 꽃이 피기 때문에 현화식물이라고 한다. 꽃이 피고 중복수정 후 종자가 생기며 자방은 과실로 발달한다. 과실 안에 종자가 들어 있고, 잎은 활엽, 엽맥은 망상 또는 평행상이고 목부에 도관이 잘 발달한다. 현재 분포하는 종의 수는 25만 종으로 전체 식물의 90% 이상이ㅣ어서 지구상의 가장 큰 식물군이다. 

     

    4. 초본식물과 목본식물

    종자식물은 조직의 목질화 여부에 따라 초본식물과 목본식물로 나뉜다. 목질화는 세포벽에 리그닌(목질소)이 생성되어 조직이 단단해지는 것이다. 초본식물은 보통 풀을 말하고, 목질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드럽다. 형성이 없어 2기 생장을 하지 않거나 미미하며 비대생장을 거의 하지 않는다. 온대지방 기준으로 초본식물은 1년, 2년, 다년생으로 분류되고, 단자엽식물의 90% 이상이 초본이다.

     

    목본식물은 보통 나무를 말하며 목질화가 이루어져 조직이 단단하다. 형성층이 잘 발달하여 2기생장을 하며 비대생장이 이루어지고 재와 수피를 형성한다. 목본식물은 모두 다년생으로 키가 큰 교목과 작은 관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나자식물은 90% 이상이 목본이다. 

     

    5. 식물의 자연 분류

    식물의 자연 분류는 자연적 또는 계통적 유연관계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한 분류 집단에 속하면 형태적으로나 생리, 생태적으로 유사하다. 어떤 식물이 무슨 과에 속하는지를 알면 그 식물의 개략적인 속성을 알 수 있다. 동일한 과에 속하면 서로 유사하며, 동일한 속에 속하면 더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연 분류에 근거하여 명명한 식물의 이름, 즉 학명은 학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식물분류학에서 사용하는 학명은 종의 명칭과 함께 속명을 알려주고 있어 해당 식물의 특징을 파악하고 연구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6. 식물의 분류체계

    스웨덴의 린네(Linne)는 현대 식물분류학의 기초를 다졌다. 기는 꽃의 형태, 특히 암술과 수술의 모양을 기준으로 식물을 분류하였고, 식물을 쉽고 정확하게 부를 수 있는 명명법을 채택했다. 식물의 분류는 유사한 식물들을 묶고 그 묶음을 더 큰 묶음으로 배치하는 작업이다. 각 계급에서 분류되는 무리가 분류군이며, 최하위 계급의 분류군이 종(species)이다. 종들이 모여 속, 과, 목, 강, 문, 계의 상위 계급을 만들어 간다. 분류군에 따라 해당 계급만으로 계급 구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sub-)라는 접두어를 붙인 계급으로 아종, 아속, 아과 등을 둘 수 있다. 속보다 높은 계급인 과, 목, 강, 문에는 특정한 어미를 붙여 이름만 봐도 어느 계급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유용한 사이트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kbi/plant/clss/KBI_2001_010300.do

    ICBN(식물명명규약): https://www.iapt-taxon.org/nomen/main.php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s the set of rules and recommendations that govern the scientific naming of all organisms traditionally treated as algae, f

    www.iapt-taxon.org

     

    7. 종의 개념과 학명

    종(species)이란 동일한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 또는 식물 집단을 말한다. 분류계급에서 가장 기본적인 분류군으로, 교잡(교배)이 가능하고 자유롭게 유전자 교환이 가능한 생물집단이며, 다른 집단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무궁화, 장미, 사과, 배추 등은 서로 다른 종이다. 종의 명칭으로는 보통명(지방병), 학명, 종소명이 있다. 보통명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으로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르다. 학명은 학술적인 명칭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종소명은 학명에서 종을 지칭하는 이름을 말한다. 학명은 국제식물학회에서 규정에 따라 만든 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ICBN)에 따라 명명된다. 몇 가지 중요한 명명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종명은 속명과 종소명으로 구성하는 이명법을 사용한다.

    - 라틴어를 쓰거나 아니면 라틴어화해야 한다.

    - 속명은 명사에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소명은 형용사에 소문자로 시작한다.

    - 이탤릭체로 쓰거나 밑줄을 그어 다른 단어와 구별한다. 

    - 반복하여 사용할 때에는 속명의 첫 자만을 사용할 수 있다.

    - 끝에 붙이는 명명자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정체로 쓰고 밑줄을 긋지 않는다. 

     

    종 밑의 변종, 아종, 품종, 또는 재배종 표기할 때는 종명과 함께 계급의 순서대로 쓴다. 잡종을 표시할 때는 종간잡종이면 종소명 사이에, 속간잡종이면 속명 사이에 x를 넣어 표시한다. 또한 많이 나오는 명명자의 이름은 관례에 따라 약자로 쓰기도 한다 (Linne는 L., de Candolle은 DC). 명명자가 2인일 경우는 &나 et로 연결하고 학명의 명명 과정에서 각자의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명명자가 별도로 없는 원예종에는 Hort.(horticulture)를 사용한다. 

     

    <무궁화>

    무궁화
    무궁화,&nbsp; Rose of Sharon, Hibiscus syriacus &nbsp;L.

     

    무궁화는 목근 또는 근화라고도 무르며 영어로는 Rose of Sharon이라고 한다. 영명은 세상에서 가장 기름진 샤론 땅에서 자라는 꽃 중의 꽃이라는 의미이다. 아욱과에 속하며, 학명은 Hibiscus syriacus L.이다. 린네가 명명하였고, 라틴어로 Hibiscus는 당아욱, syriacus는 시리아를 말한다. 학명은 시리아 지방에 많이 자생하는 당아욱 닮은 꽃이라는 뜻이다. 낙엽, 활엽, 관목이고 꽃은 모양과 형태가 다양하다. 한 여름에 피기 시작하여 가을까지 꽃이 피고 지고 끝이 없어 무궁화이고 그래서 꽃말도 '끈기'와 '일편단심'이다.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지에서 방울토마토 키우기  (0) 2025.03.15
    3월에 심는 작물 - 옥수수  (0) 2025.03.14
    3월에 심는 작물  (0) 2025.03.10
    세계의 농업회사 ABCD  (0) 2025.01.01
    원예 식물의 분류 2  (0) 2024.04.02
Designed by Tistory.